사회문제론 영화 우아한거짓말 관련 레포트입니다:)
[본문내용]
Ⅰ. 영화 우아한 거짓말 줄거리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중학교에서 일어나는 집단 따돌림의 폐해를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천지라는 인물은 동생으로서 애교가 많고 엄마의 마음에 들게 행동하는 딸이었다. 천지는 엄마 현숙에게 MP3, 털모자를 사달라고 졸랐다. 하지만 엄마 현숙은 집 전세보증금을 내야한다며 물건을 못사준다고 말하였다. 엄마 현숙은 막내딸 천지를 천지 아빠인 남편을 보낸지 9년만에 하늘나라로 보냈다. 막내딸 천지는 유서를 남기지도 않고 자살한 드라마틱한 이야기이다. 참을성 많고 생활력 강한 두 모녀는, 죽은 원혼 때문에 집에 재수가 없다며 나가길 종용하는 집주인에게 걸쭉한 욕을 한 바가지 해주고 떠난다. 결국 엄마 현숙은 딸과 함께 다른 아파트로 이사를 갔다. 이사를 온 후 중국집 보신각이라는 곳에서 끼니를 때웠다. 막내딸 천지와 화연이라는 친구는 서로 단짝 친구였다…
(…중간생략…)
Ⅱ. 기능주의, 갈등주의, 상호주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
1. 기능주의 이론
1) 사회병리론
사회병리론은 사회문제의 개념을 유기체에 착안한다. 즉, 유기체적 유추로 사회를 파악하는 사회 유기체주의에 입각하고 있다. 사회라는 유기체의 정상적 상태는 정상적인 작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위협하는 질병, 병리의 문제가 제기된다. 개인이 변화하는 사회관념 및 제도에 대처할 능력이 없거나 제도 자체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질병이자 병리 현상의 사회문제가 되는 것이다. 즉, 사회병리론에서는 개인의 부적응과 제도적 부작동 및 역기능 등의 상태가 사회문제이다. 사회병리는 사회라는 유기체의 건강성이 위협을 받고 병든 상태로 개인, 집단, 지역사회, 사회, 문화 등에 있어서 정상적 상황에 벗어난 비정상의 상태이다. 초기 사회문제론은 계몽주의와 과학에 대한 신념, 윤리와 도덕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회병리론에서 사회문제의 궁극적 원인은 사회화의 실패 때문이다. 사회는 사회화의 주체로서 도덕적 규범을 각 세대에 사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탈에 대한 초기분류는 결점이 있고 의존적이며 비행의 행동을 일으키는 사람으로 특정했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잘못된 가치의 학습결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회문제를 가볍게는 질병상태로 보기도 하였지만, 엄격하게는 범죄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결국 개인이든 사회조건 모두 그 중심에는 비도덕적이라는 특성이다. 사회병리론에서 사회문제의 조건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초기에는 사회문제를 결함이 있고 의존적이며 일탈적인 것으로 간주하다가 후기로 갈수록 사회문제에 기여하는 사회환경과 조건이 병리현상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영화 우아한 거짓말에서 학교라는 울타리 속에서 항상 정상적인 작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위협하는 질병, 병리의 문제가 제기된다. 천지는 개인이 변화하는 사회관념 및 제도에 대처할 능력이 없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화연의 생일파티에서도 천지는 이전과 똑같이 지각을 하는 등 개인의 질병, 병리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다른 친구들이 보기에 천지의 분위기가 어둡고 천지 아버지는 사고로 돌아가셔 어머니 혼자 생계를 책임지시기 때문에 집안 분위기는 음침한 느낌이 들었다. 천지는 학교에서 은따를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천지와 그 가족들 그리고 친구인 화연이는 개인, 집단, 지역사회, 사회, 문화 등에 있어서 비도덕적이고 정상적 상황에 벗어난 비정상의 상태로 머무르고 있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