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국의 분단의 역사
1.민족의 비극
1945년 8월 15일 꿈에도 그리던 광복이 찾아왔다.
그러나 일본에게서의 광복의 기쁨은 잠시 동안이었다. 여러 강대국들은 우리나라의 한가운데를 지나고 있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하여 남한과 북한을 갈라놓은 것이다. 남한에는 미국이 진주 하였고 북한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였다. 우리 민족도 소련의 공산주의 이념을 따르는 사람들과 자 유 민주주의를 원하는 사람들로 나누어졌다.
이념으로도 두 동강이난 우리 정치인들은 정당을 어지럽게 만들었고 공산주의자들의 테러는 계 속 되었으며 민족 지도자들을 암살하는 사람들까지 나타났다. 한마디로 말해서 극도의 혼란과 분 열이 일어났다. 정치인들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싹트지 못했던 우리나라 국민들은 공산주의와 자 유 민주주의의 사이에서 혼란에 휘말리기만 했다.
강대국들은 모스크바 삼상회의(1945년 12월에 열린 미국.영국.소련의 3개국 외상이 모여 개최 한 회의이다. 여기서 전후 일본 점령 지역의 관리 문제와 한국의 독립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에서 국제 연합이 그 권위와 감독 아래 미개발 지역에 대한 통치를 특정 선진국에 위탁하여 그 지역주민들의 복리를 꾀하고 자주 독립 국가로 이끌기 위해 우리나라를 5년 동안 맡아서 다스린 다는 ‘신탁통치’를 결정하였다. 우리 국민들은 결사반대를 하였지만 소련의 지령을 받았음이 분명 한 공산당은 하루아침에 ‘신탁 통치’결사 반대를 ‘신탁 통치’절대 지지로 바뀌었다. 자유진영과 공산당은 피나는 싸움을 벌이었다…